
[한국태권도신문] 세계태권도연맹(총재 조정원, WT)은 26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대한민국 정부파견 태권도 사범 공로패 전수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세계태권도연맹 조정원 총재, 양진방 부총재, 서정강 사무총장 비롯해 국기원 윤웅석 원장, 아시아태권도연맹 김하영 사무총장, 태권도진흥재단 신성일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한 정부파견 사범 곽기옥(가나, 9단, 78세)을 비롯해 김용광(리비아), 김선공(부리키나파소), 전상호(시리아), 강신철(이란), 정기영(이집트), 이병호(짐바브웨·나이지리아), 김영태(코트디부아르, 전 WT 사무차장), 홍은후(튀니지) 사범 등 9명에게 공로패가 전달됐다.
불참한 최기철(가나), 박남현(가봉), 박정원(가봉), 김무천(나이지리아), 이상진(세네갈), 김승주(이집트) 사범 등 6명에게는 공로패가 사후 전달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1970년대부터 개발도상국과 미수교국 등 전 세계 곳곳에 파견되어 태권도 보급과 함께 민간외교의 첨병 역할을 해온 정부파견 사범들의 헌신을 예우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파견 태권도 사범 제도는 1960년대 주월한국군사령부 태권도교관단을 시작으로 외교통상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문화체육관광부, 국기원을 통해 약 50여 년의 역사를 이어왔다.
1970년대는 미수교 국가가 많았던 시기로 정부파견 사범들은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등 21개국 32명이 파견되어 태권도를 매개로 한국의 문화와 정신을 전파하며 국격을 높이고 한류의 토대를 다진 주역들이다.
당시 남북한의 체제 경쟁이 치열했던 국제 무대에서 정부파견 사범들은 태권도 보급을 넘어 국가 간 우호관계와 문화교류 증진을 위한 민간외교관으로서 최빈국과 개발도상국에서 묵묵히 한국의 위상을 높여왔다.

특히 이들의 헌신은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WT)과 1974년 아시아태권도연맹(ATU) 창설에 크게 기여했으며, 오늘날 전 세계 215개 회원국과 난민팀이 가입한 세계태권도연맹의 성장과 한류 확산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정원 총재는 "정부파견 사범님들의 헌신 덕분에 오늘날 215개국과 난민팀이 함께하는 세계태권도연맹이 있을 수 있었다"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태권도를 통해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민간외교의 첨병 역할을 해주신 사범님들의 헌신과 희생은 태권도 역사 그 자체이며, 이를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조 총재는 "태권도를 지키고, 가족을 지키는데 헌신한 배우자들에게 특별히 감사드린다"며 참석한 사범들의 배우자에게 직접 꽃다발을 증정했다.
대한민국정부파견태권도사범협회 곽기옥 회장은 "1970년대 아프리카와 중동의 최빈국에서 태권도를 보급하며 조국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우리의 노력이 오늘날 한류의 시작이 되었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며 "후배 사범들이 우리의 정신을 이어받아 전 세계에 태권도와 한국 문화를 더욱 널리 알리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현재 정부파견 태권도사범은 국기원이 관리하고 있으며, 아시아 19개국, 유럽 13개국, 아메리카 12개국, 아프리카 7개국, 오세아니아 2개국 등 총 53개국에 53명이 활동 중이다.
한편, WT는 이날 2026년 슬로건으로 'REBON TOGETHER(리본 투게더)'를 선언했다. 이는 'Re-bond(다시 연결하다)'와 'Ribbon(리본)'의 중의적 의미를 담은 것으로, 1970년대 정부파견 사범들이 세계 각지에서 뿌린 태권도의 씨앗이 세대를 거쳐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하고 결속시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WT는 이번 슬로건을 통해 선배 사범들의 헌신으로 시작된 태권도 정신이 현재와 미래 세대로 이어지며, 전 세계 215개국과 난민팀을 하나의 리본처럼 단단히 묶어준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